Moth orchid

호접란(팔레놉시스)

동남아시아가 고향이에요.

반음지가 좋아요.

15
꽃눈 생성을 위해 필요한 온도차이

개요: 여러마리의 나비가 나는 듯한 꽃이 오래 지속된다. 오래도록 꽃을 보는 것에 비하면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의외로 나사 공기정화 식물 49위이다. 크실렌(독과 휘발성이 있고 용제로 쓰인다) 제거에 효과적이다. 호접란은 일반 식물 중에서도 아주 인기가 높다.

호접란

화이트슈 품종 (2019년 고양 꽃 박람회에서)

키우기

햇빛: 간접광. 강한 직사광선에는 잎이 타는 일소현상이 생긴다. 차광하는 것이 좋다. 한여름에는 50% 이상 차광한다. 간접광이지만 하루 5~6시간의 일조시간이 필요하다.

온도:  16~27°C. 호접란은 사람이 살기에 쾌적한 온도면 적합하는 것으로 기억하면 쉽다.
꽃이 피면 약간 서늘하게 18°C 이상으로 유지한다. 겨울최저 온도는 13~15°C. 카틀레아(중온성)보다 약간 높은 온도를 좋아하는 고온성란이다. 겨울철 베란다에 둘 경우 온도가 최저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잎이 갈변하면서 떨어질 수 있다. 그 상태라도 뿌리가 살아 있고 온도관리를 다시 해주면 잎을 내기도 한다. 베란다라면 대략 11월~3월까지는 실내로 들인다. 자생지인 열대우림의 낮 온도는 28~35°C, 야간 온도는  20~24°C 이다.

호접란 금공주

호접란 금공주

물주기: 뿌리가 마르면 하얗게 변하는데 이때가 물줄 시기이다. 하지만 심어 놓은 상태에 따라 속 뿌리까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식재의 겉이 마르면 하루이틀 후에 물을 준다. 또 가죽느낌의 잎을 자주 만져보면 물이 부족할 때를 가늠할 수 있다. 바크에 심었다면 좀 더 자주 물을 주고 수태라면 그보다는 오래 젖어 있으므로 더디 준다. 난석에 심었다면 더더 자주줘도 된다. 겨울에는 물을 줄이고 비료도 주지 않는다. 공중습도는 높게 관리하고 통풍에 신경쓴다. 꽃에는 물이 닿지 않게 한다.
받아놓은 물이나 특히 빗물을 받아 주면 좋지만 그냥 수돗물을 바로 줘도 무방하다.

여름에는 특히 잎의 오목한 부분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다. 흔히 판매하는 형태이지만 똑바로 세워 두면 물이 잘 고이게 된다. 원산지에서 자라듯이 옆으로 누워있는 형태로 부작하면 자연스럽게 물이 고이지 않아서 좋다. 혹은 카메라 청소용 블로워를 이용해 물기를 제거해준다.
수경재배도 가능하지만 물을 자주 갈아줘야하기 때문에 오히려 관리가 어려워 개인적으로는 추천하지 않는다.

비료: 봄~가을까지 농축 액체비료를 2주에 한번 정도 묽게 희석하여 준다.
난은 성장이 더디기 때문에 굳이 비료나 분갈이를 하지 않고 뿌리 건강에만 촛점을 맞춰 기르는 편이 좋다. 과한 비료는 오히려 좋지 않다.
다른 난초도 그렇지만 이른 봄에 미원(조미료)을 2,000배 가량 희석(세수대야 물에 티스푼1 정도 비율)하여 아미노산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 역시 너무 자주 주진 않는다.

호접란

만천홍 (滿天紅, Queen Beer) 으로 추정. 만천홍은 도리티스 풀체리마 Doritis pulcherrima와 팔레놉시스 메테올 Phalaenopsis Meteor의 교배종.

만천홍 – 계통도 링크

꽃 보기:
· 간략한 설명 – 쉬운 방법은 베란다라면 밤 온도가  18°C 밑으로 떨어지기 전까지 실내로 들이지 않는 것이다. (밤 18°C 전후의 저온을 한달간 겪어야한다. 메모리 기능이 있는 온도계를 이용하면 밤 최저 온도를 알 수 있다. ‘세계의 난(윤경은, 정소영 저, 63p)’ 책에 의하면 야간 13°C 정도를 일정 기간 겪어야한다고 한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품종에 따라 다른듯한데 10°C 이하에서는 냉해를 입으므로 15°C 이상이 안전할 듯하다)

· 자세한 설명 – 단일(短日, short-day, 일정한 기간동안 빛이 적어야)조건에 꽃눈이 잘 생성된다. 단일 조건은 하루 8시간 정도이다. 따라서 실내등을 오래 켜 두면 꽃이 피지 않을 수 있다.
온도 차이가 15°C로 4주 정도 유지되야 꽃눈이 생긴다. 온도변화가 없는 실내에 계속 두면 꽃을 보기 어렵다. 베란다라면 봄, 가을에 이런 조건이 충족된다.
최저 온도가 13~15°C로 그 이하면 약해져서 꽃이 피지 않을 수 있다.

따뜻한 곳에서 서식하던 식물이라 온도 보다는 충분한 빛에 의해 꽃눈 생성이 좌우 된다는 의견도 있다. 어쨌든 위의 책(세계의 난, 109p)에 있하면 개화유도에는 온도와 조도가 영향을 준다고 한다. 15°C로 10일가량, 조도는 평시보다 25-40% 증가, 일조시간 6시간 이상, 습도도 50%(평소대비 인듯) 낮추고, 물주기도 줄이기를 한달가량 유지한다. 이렇게 하면 스트레스로 인해 꽃눈이 분화한다. 건강한 난에 한해서 이며 가을 무렵 자연적으로 이 상태가 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조도에 있어서 위의 설명(출처-인터넷 검색)의 단일 조건과 아래 책의 설명의 조도 증가라는 것이 상충되고 있다. 필자의 견해로는 가을 무렵으로 접어들면 인공 조명이 아니면 조도가 줄어들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줄이는 쪽으로 관리하는 것이 편할 듯하다. (자료 조사 후 보강 예정)

꽃이 지면 긴줄기에서 꽃이 핀 바로 밑부분의 마디(혹은 밑에서 3번째 마디의 중간)에서 잘라주면 꽃을 또 볼 수도 있다. 그럴 경우 전체적으로 포기가 약해질 수 있다.

자세히: 胡蝶蘭, 학명- Phalaenopsis (Phalaina는 나방, Opsis는 모양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다.) 30여종의 품종이 있고 시중의 호접란은 대개 교배종이다. 꽃이 진 호접란은 아주 저렴하니 그때 구입하는 것도 좋겠지만 초보라면 꽃 피우기가 쉽지만은 않다.

호접란 금나비

호접란 금나비

부작 혹은 심기(mounting vs potting):
방법1 부작. 호접란은 흙이 아닌 바위나 나무에 붙어 사는 착생란이다. 수태(이끼 종류로 건조하여 압축 상태로 판매한다)와 함께 부작(나무, 기와 등에 끈 등을 이용해서 부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단 이경우 심은 재료가 마르면 물을 줘야하는데 건조가 빠르므로 자주 줘야할 수 있다.

방법2 통기성 좋은 용기에 심기. 플라스틱이나 도자기 화분 보다는 사방에 구멍이 뚫린 토분, 나무 바구니 같은 것에 심어 통풍이 잘되도록 한다. 심는 재료는 수태, 바크(나무껍질)나 난석, 하이드로볼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 화분 아래를 아예 뚫어서 실린더 형태로 만들어 이용해도 좋다. 혹은 넓적한 형태의 화분에 심는다. 통풍이 잘되도록 해서 뿌리가 건강하도록 하는 것이 키우기 포인트이다.

방법3 투명 용기에 얹기. 긴 유리 화병에 분재 철사를 이용해서 병 입구 위쪽에는 잎이 아래쪽에는 뿌리가 가도록 살며시 고정시킨다. 이렇게 할 경우는 물마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하루이틀에 한번은 분무기로 물을 뿌려줘야한다. 호접란을 각별히 좋아한다면 뿌리 관찰을 하는 재미가 있는 방법이다.

방법3 일반 화분에 심기. 부작 대신 일반 화분에 심을 수도 있다. 화분에 심을 경우에도 일반 배양토가 아닌 바크나 난석에 심는다. 뿌리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한 피하는게 좋을 듯하다. 차라리 아래 방법이 나을 수 있다.

방법4 구입 상태 그대로 키우기. 이래저래 번거롭다면 구입한 상태 그대로 (투명 비닐 포트에 넣어져 파는 경우가 많음) 그보다 큰, 바닥이 막힌 화분에 넣어서 키우기도 한다. 이 경우 물을 너무 자주 주면 뿌리가 썩을 수 있으니 주의한다. 물을 줄 때는 꺼내서 물에 잠시 담갔다 꺼내고(저면관수)물이 빠진 후 다시 원위치 시킨다. 통풍을 위해 가위로 비닐 포트를 중간중간에 구멍을 내면 좋다.

부작하든 화분에 심든 뿌리가 ‘촉촉한 상태 ~ 약간의 건조’를 번갈아 가며 겪게하는게 좋다. 뿌리가 마른 상태에서 약간 은빛이 도는 뿌리가 건강한 뿌리라고 한다.

심는 재료는 전문가들도 의견이 다르다. 난석만으로 하는 것을 추천하는 분은 일반 화분에 심었을 경우 과습에 대한 우려가 없어서 좋다고한다.
다른 의견은 바크2: 수태 1의 비율을 추천하기도 한다. 게다가 바크와 수태는 성질이 달라서 둘중 하나를 선택해야지 같이 섞으면 좋지 않다고도 해서 다소 혼동스럽니다. 아무튼 난석 – 바크 – 수태 순으로 뒤로 갈수록  물을 많이, 오래 지니고 있음을 감안하여 본인의 키우는 환경과 물주기 습관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이외에 숯, 펄라이트, 코코칩 등을 이용하기도한다. 특히 숯의 칼륨이 난에게 도움이 된다고 한다.

호접란

호접란

케이에스 리틀 젬 품종(2010년 대한민국 난전 대상)

Leave a Reply